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19)
태양광도 공공자원 ZERO: 제주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야기할 때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바람. 풍력이다. 두 번째로는 태양광발전이다. 햇빛 역시 우리모두의 공유자원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시설로부터 공유화 기금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J: 제주도 남쪽 수망리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이 추진된다는 소식을 전한바 있다. 100메가와트급으로 제주에서는 최대규모이다. ZERO: 수망리 태양광 발전사업이 곧 착수한다. 따라서 공공자원에 대한 관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J: 도민과 지역민들에게 이익을 환원 시킬 수 있는 방안이 있어야 할 것이다. 풍력의 경우는 개발이익을 공유하고 있다. 제주에서는. ZERO: 풍력의 경우 법적 근거를 갖추고 개발이익을 공유하고 ..
제주연안침식으로 해수욕장이 사라진다 ZERO: 해양수산부는 해마다 전국 연안의 침식현황을 조사한다. J : 기후변화로 인해서 해수면은 상승했다. 연안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 ZERO: 특히 제주도의 해수욕장 면적이 많이 줄어들었다.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인공구조물 건설(즉 방파제)에 따른 조류 변화 등으로 인해서 백사장 면적이 감소하고 있다. 즉 연안 침식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J: 제주는 사면이 바다라. 해수욕장은 여름의 또다른 관광자원이다. 여름 뿐이겠는가. 계절을 타지 않는 서핑과 같은 레저 활동도 있고. 겨울바다는 풍광으로 운치가 있다. ZERO: 하지만 제주 내 해수욕장의 모래유실은 심각하다. 제주시청이 지난해 관내 8개 지정해수욕장의 백사장을 조사..
제주공항 항공기 지연율 ZERO: 제주공항은 세계에서 가장 바쁜 공항 중 하나다. 제주국제공항을 오가는 항공기의 지연운항은 일상화가 되었다. 지난달 중순 서울 강연차 출장을 갈때도 항공기 연결관계로 3차례 지연되면서, 강연 시간 1분전에 도착하기도 하였다. J: 올들어 제주공항을 운항한 항공기들은 몇 대나 되는가요? ZERO: 1월에서 4월까지만 항공통계를 보자. 한국공항공사가 발표한. 국내서과 국제선 출도착여객기는 51,912편이었다. 이중 11,579편이 지연 운항했다. J: 22%나 지연 운항되고 있네요. 10대 중 2대가 지연되고 있는셈. 코로나 이전에도 항공기 운항 지연을 심각했다. ZERO; 2019년 같은 기간을 살펴보면 6118편이 지연 운항되었다. 2022년 1월부터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