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63)
JEJU A to Z 사라지는 용천수 2부 JEJU A to Z: 사라지는 용천수 Jeju Lava Spring Water Part 2 A: 왜 제주의 용천수가 사라지고 있죠? Why is the water in Jeju disappearing? Z: 용천수가 고갈되고, 멸실되고, 매립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활용되는 용천수 162개소 가운데 99개소는 생활용으로 쓰이고 있다. 61% 수준이다. Because Yongcheon water is being destroyed, and reclaimed. Of the 162 currently used Yongcheon water sites, 99 are used for daily use. It is around 61%. A: 그럼 나머지는 어떤 용도로 쓰이고 있나요? Then what are the ..
JEJU A to Z 줄어드는 제주용천수 1부 JEJU A to Z: 사라지는 용천수 Jeju Lava Spring Water Part 1 Z: 제주는 화산섬이다. 예로부터 먹는 물이 귀했다. 하지만 살아 샘솟는 물로 불리는 제주의 생명수, 용천수가 있다. Jeju is a volcanic island. Drinking water has been NOT enough naturally and traditionally. However, there is Yongcheon Water (Spring water), the life water of Jeju, which is called the water that springs alive. A: 용천수는 제주의 젖줄이다. 제주도 전역에 마을마다 용천수가 있어서 생활에 활용해 왔다. Yongcheon water i..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의 MOU 2부 JEJU A to Z 제주도-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업무협약 MOU between Jeju & KIGMR Part 2 A: 협약은 어떤 내용을 담고있는가? What does the agreement contain? Z: 두 기관은 협약을 통해서 용암해수 등 제주의 지하수 가치를 높혀 나가는데 합의했다. 그리고 제주의 지하수 가치를 산업적으로 활용하고 연구하고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연구도 진행하고 제주 지질유산을 신규로 더 발굴하고 분포지도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한다. 제주도의 기후를 분석해서 이를 바탕으로 미래 기후변화를 연구하고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상용화 기술에 협력해서 순환자원을 위해서 노력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바이오산업과 관련된 산업의 지역인재를 양성하고 지원한다. The two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