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98)
jeju a to z 삼나무간벌정책 2부 JEJU A to Z 식생회복을 위한 삼나무 간벌 Cutting Cedar Trees. Why? 2부 A: 거문오름의 생태계 복원을 위한 간벌작업이군요. 올해의 경우는 어느정도 규모로 작업이 진행되는가? It's an intervention to restore the ecosystem of Geomunoreum. On what scale will the work be carried out this year? Z: 2024년 올해는 2억원을 들여서 탐방로 구간 7헥타르 면적 내 삼나무 7300 그루에 대해 간벌작업을 실시한다. This year in 2024, we will spend 200 million won to conduct a thinning operation on 7,300 cedar trees..
jeju a to z 삼나무 간벌 이유 1부 JEJU A to Z 식생회복을 위한 삼나무 간벌 Cutting Cedar Trees. Why? 1부 Z: 제주도청과 세계자연유산본부가 자연식생 회복을 위해서 삼나무 간벌정책을 펼치고 있다.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and the World Natural Heritage Headquarters are implementing a cedar intervention policy to restore natural vegetation. A: 간벌정책이면 나무를 없애는 것이다. 이것이 자연식생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인가? If it's a policy of intervention, it's to get rid of trees. Does this help restore natural v..
JEJU A to Z 농업용 빗물시설 용역착수 2부 JEJU A to Z 중규모 빗물이용시설 용역착수 Rainwater for Agriculture 2부 A: 농가에서 사용되는 농업용수의 규모는 어느정도가 되는가. How large is the amount of agricultural water used in the farmhouse. Z: 서귀포 위미리를 기준으로 살펴보자. 위미에는 569개의 농가가 있다. 여기에서 농업용수로 하루 7200톤을 사용하고 있다. Let's take a look based on Wimiri(community) in Seogwipo. There are 569 farms in Wimi ri. Here, 7,200 tons of agricultural water are used per day. A: 이번에 빗물이용시설이 만들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