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53)
JEJU A to Z 해녀보전방안은? 2부 JEJU A to Z 해녀보존 대안은? Conservation of Jeju Haenyeo Culture Part 2 A: 해녀학교 운영은 잘 되고 있는가요? How is the haenyeo school doing? Z: 한수풀해녀학교와 법환해녀학교 두 곳이 있다. 86시간동안 교육을 받는다. 이론과 실습, 현장 실습 등. 그리고 최소 1년 넘게 어촌계 인턴과정을 밟아야한다. 그리고 어업 실적이 연 60일 이상이 되어야 수협 조합원에 가입할 수 있다. 여기에 수협 출자금은 200만원 이상 내야한다. 여기에 어촌계 가입비도 내야한다. There are two schools, Hansupul Haenyeo School and Beophwan Haenyeo School. 86 hours of training..
JEJU A to Z 해녀보전방안은 1부 JEJU A to Z 해녀보존 대안은? Conservation of Jeju Haenyeo Culture Part 1 A: 제주해녀 수가 줄어들고 고령화되고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The number of Jeju haenyeo is decreasing and aging. It has been an urgent issue for a long time. Z: 1970년대만 해도 해녀수가 14,000명이었다. 2020년에 들어서면서 3천명대로 감소했다. In the 1970s, there were 14,000 haenyeo. In 2020, it decreased to the 3,000. A: 80% 가까이 줄어든 셈이네요. That's a reduction of nearly 8..
JEJU A to Z 에너지저장장치 파일럿 프로젝트 JEJU A to Z 에너지저장장치 실증 Blue Battery Pilot Project A: 에너지 저장장치는 제주에서 일어나는 재생에너지의 출력 제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추진하는 정책 중 하나이다. The energy storage system is one of the policies we are promoting to solve the problem of limiting the output of renewable energy occurring in Jeju. Z: 출력제한 문제의 솔루션이기도 하지만 탄소중립의 근간이 되기도 한다. It is a solution to the output limitation problem, but it is also the basis for carbon neutra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