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15) 썸네일형 리스트형 JEJU A to Z 제주의 공공도서관 JEJU A to Z 충분치 못한 제주공공도서관의 사서배치 ZERO: 제주에는 도서관 시설들이 매우 잘 되어 있다. ZERO: Jeju has very good library facilities. J: 한라도서관, 탐라도서관, 우당도서관 등등 많은 도서관들이 있다. J: There are many libraries such as Halla Library, Tamna Library, and Udang Library. ZERO: 도내에는 총 16개 공공도서관이 있다. 제1차 제주도 도서관발전종합계획 학술용역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서 착수보고회가 지난달 진행되었다. 이 용역은 문체부가 진행 중인 제4차 국가도서관발전종합계획과 연계하여 진행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들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발전 종합계획.. JEJU A to Z: 극조생 감귤 합격률 JEJU A to Z Z: 서귀포시는 극조생 감귤 출하 전에 품질검사제를 운영했다. 지난 9월 18일부터 실시했다. A: 어떤 결과가 나왔는가? Z: 품질검사에 합격한 감귤은 75% 수준이다. A: 과거의 합격률은 어떻게 되는가? Z: 2020년은 88% 였고, 2021년은 83% 였다. 최근 4년의 합격률을 살펴보면 올해가 처음으로 70%의 합격률을 보였다. A: 지난달 추석명절 때 제대로 익지 않은 감귤을 출하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것은 결국 제주감귤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릴 뿐이다. Z: 극조생 감귤을 출하하기 위해서는 출하 전 품질검사를 통과해야 한다. 상품기준 당도 8브릭스, 착색도 50% 이상을 통과해야 한다. 하지만 올해 극조생 감귤의 출하시기가 지난 추석과 겹쳤다. 이 시기는 과일구매 수요.. JEJU A to Z: 제주밭담이 주는 가치 JEJU A to Z Z: 제주는 화산섬이다. 논농사보다는 밭농사가 발달되어 있다. A: 제주의 화산석들로 조성된 밭담은 또다른 풍경을 제공한다. Z: 제주밭담은 천년 넘는 세월동안 제주인들의 노력으로 쌓아올린 유산이다. A: 농업유산이다. 현무암 검은돌이 구불구불해서 흑룡만리라고도 불리운다. Z: 밭담은 농업인들의 삶과 지혜를 담고 있다. 제주밭담은 제주의 드센 바람을 걸러내는 기능도 한다. 토양의 유실도 막아준다. 마소의 농경지 침입을 막아서 농작물을 보호한다. A: 밭담은 또한 일종의 boarder 경계표시 기능도 한다. 제주농업의 역사가 서려있는 유산이다. Z: 제주밭담은 제주도 전역에 분포해 .. 이전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13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