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주의 새로운 산업단지

< 제주의 새로운 산업단지, 스마트그린산업단지 >

Z : 제주에 새로운 산업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J : 첨단과학기술단지가 조성되어 잘 운영되고 있고,
   제2첨단과기단지도 추진 중. 그 외 다른 산업단지가?
Z : 새로운 산업단지는 4차산업혁명시대 제주도정 민선8기의 주요정책 중 신성장산업에 특화된 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J : 현재 제주도정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성장산업은 그린수소와 UAM이라고 할 수 있다. 우주산업도 있다.

Z : 제주는 이러한 신성장산업에 특화한 단지를 ‘스마트그린산업단지’라 명하고 있다.  이 산업단지를 추가로 조성하는 계획이다.
J : 지난 3월 15일 중앙정부에서 국가의 첨단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하여 국가첨단산업단지 후보지를 발표한바 있다.  이것과 연계된 것?

Z  : 아니다.
중앙정부는 지역 산업 강점에 기반하여 특화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아래
국가첨단산업단지로 지정할 후보지 15곳을 발표했다.
이곳에 반도체, 미래차, 우주사업, 원전 등 미래 첨단산업을 육성하는 것이다.
총4076만 평방미터 규모의 15개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여 기업 투자를 전폭 지원하게 된다.
하지만 제주도는 정부가 발표한 국가첨단산업단지 후보지 15곳에서 제외된바 있다.
이에 정부계획과는 별개로 산업 입지를 자체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J : 제주가 선정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가?
Z : 첨단과기단지가 2개나 추진되고 있다. 이 단지들이 이미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되어 있다.
첨단과기단지 1단지는 2010년에 이미 완료되었고
2단지는 지난해 실시계획 승인과 고시가 이루어졌다.
올래 내 부지 조성공사 착수가 예상된다.
그러면 2027년까지 84만 평방미터 규모의 제2첨단과기단지가 조성된다.

J  :  새로이 조성될 예정인 산업단지의 기간과 면적은 어떻게 되는가?
Z :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를 올해부터 2029년까지 20만평방미터 규모로 조성한다.
개발가능한 입지 후보지를 검토해서 UAM이나 우주산업 유망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기본 전략이다.
J : 그럼 현재는 입지 후보지를 물색중인가?
Z :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조성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 중이다.
이 용역 결과를 토대로 입지를 선정한다. 그리고 유치 업종을 결정한다.
그러면 인구 유발 효과와 지역경제 파급효과까지 조사하여 기본구상안을 포함시킬 계획이다.
J : 용역이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스마트그린산업단지가 조성되는 것이네요.

Z : 용역 완료 후 산업단지 개발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산업단지 개발절차를 단계별로 이행하게 될 것이다.
신성장 유망기업과 지식기반 산업 업종 기업의 제주이전 부지로 활용하는 전략이다.

J : 기업유치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부지이다. 땅이 있어야 사무실이나 기반시설들을 조성하여 비즈니스를 추진할 수 있다.

Z : 이와는 별개로 신성장산업 육성을 위해서 탐라대학교 부지를 활용하는 계획과  제주지식산업센터 활용 계획 도 발표한바 있다.
그리고 도내 3개의 농공단지(구좌, 금능, 대정)를 확장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J : 제주가 중점 추진하고 산업육성을 위하여 산업단지는 필수요건이다.
과거의 사례들을 바탕으로 부지선정과 조성 등이 잘 진행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