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JEJU A to Z 2040년 제주인구와 생활구역

JEJU A to Z
< 2040년 제주의 인구와 공간활용은?
2040 Jeju Primary Urban Plan >


Z: 제주도가 2040년 도시기본계획을 마련했다.
2020년 5월 용역에 착수해서 그동안 여러과정을 거쳤다.
공청회와 도의회 의견 청취, 국토교통부 협의와 도시계획 심의위원회 심의 등.
Z: Jeju Government has prepared a primary urban plan for 2040.
The feasibility study on this agenda began in May 2020 and has gone through several processes.
Public hearings,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the provincial council, consultation wit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deliberation by the Urban Planning Review Committee.

A: 도시기본계획은 몇 년 단위로 세우는 계획인가요?
A: What is the period of this Primary Urban Plan?

Z: 20년 단위의 법정계획이다.
국토종합계획과 제3차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등을 반영하였다.
상위개념의 계획들과 시대의 변화같은 여건들을 반영한 것이다.
Z: It's a 20-year long legal plan.
The comprehensive national land plan and the 3rd International Free City Plan were considered and reflected with this plan.  
It contains conditions such as plans of higher concepts and changes in the times.

A: 제주의 미래와 장기적 발저 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이군요.
공간개념의 계획말이다.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A: It's a plan to suggest Jeju's future and long-term direction.
I think this is the plan of the concept of space.
What does it contain?

Z: 도시계획의 목표는 제주도민의 도시, 청정한 도시, 지속가능한 도시, 활력이 넘치는 도시를 조성하는 것이다.
사람과 자연, 현재와 미래가 공유하는 활력도시 제주가 공간개념에 있어서의 미래비전인 것이다.
Z: The goal of urban planning is to create a city for Jeju residents, a clean city, a sustainable city, and a city full of vitality.
Jeju, a vibrant city shared by people and nature, present and future, is a future vision in the concept of space.

A: 이러한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들은 어떻게 되나요?
구체적인 내용들을 정리해 달라.
A: What are the strategies for achieving these visions and goals?
Please tell us the details.

Z: 도시기본계획은 9개의 전략을 마련했다.
제주도는 2040년으 인구를 100만명으로 설정했다.
상주인구는 80만명이고 유동인구는 20만명을 포함하는 생활인구 개념을 적용해서 설정한 것이다.
하지만 기반시설계획은 더 많은 110만명을 (상주인구 80만명 + 유동인구 30만명) 설정해서 적용했다.
Z: This Primary Urban Plan has nine strategies in place.
Jeju Government sets its population at 1 million in 2040.
It was set by applying the concept of a living population, including 800,000 resident population and 200,000 moving(floating) population.
However, the infrastructure plan set and applied 1.1 million more people (800,000 resident population + 300,000 moving population).

A: 쓰레기와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많은 관광객들을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는 것 또한 중요하다.
제주의 생활권역은 어떻게 나뉘는가?
행정구역은 제주시와 서귀포권으로만 나뉘고 있다.
A: Infrastructure such as garbage and water and sewage are very important issues.
It is also important to have an infra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many tourists.
How are the living areas of Jeju divided?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re divided only into Jeju City and Seogwipo.

Z: 제주를 5개 권역의 생활권으로 나누었다.
제주시 동부 도심생활권
제주시 서부 도심생활권
서귀포 도심생활권
동부생활권
서부생활권
제주도는 개발 사업 균형 배분을 통해서 인구가 집중된 제주시 동서부 도심생활권 인구를 서귀포와 동서부 행활권으로 분산할 예정이다.
Z: Jeju was divided into five living areas.
- Jeju City's Eastern Urban Living Area
- Jeju City's Western Urban Living Area
- Seogwipo City Living Area
- Eastern Living Area
- Western living area
Jeju plans to distribute/separate the population of the eastern and western urban living areas of Jeju-city, where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to Seogwipo and the eastern and western areas
through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projects.


A: 제주시에 인구 쏠림 현상이 있다.
인구비율을 맞출 필요가 있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
또 어떤 특징이 있는가?
A: There is a phenomenon of population concentration in Jeju City.
The population ratio needs to be matched.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s there other characteristics of this plan?

Z: 종전 계획인 2025년 도시기본계획과 비교해서 보전에 더욱 중점을 두고 계획을 수립했다.
시가화예정용지를 줄였다. 42.10평방킬로미터에서 26.17평방킬로미터로.
대신 보전용지를 1899.10평방킬로미터에서 1900.27평방킬로미터로 늘렸다.
또다른 특징은 집약적으로 토지를 이용할 수 있는 콤팩트시티를 관리 방안으로 제시했다는 것이다.
Z: Compared to the previous plan, the 2025 urban primary plan, this time the plan was established with more emphasis on conservation.
reduced the amount of the planned for urbanization.
form 42.10 square kilometers to 26.17 square kilometers.
Instead, the reserve was increased from 1899.10 square kilometers to 1900.27 square kilometers.
Another feature is that it proposed a compact city where land can be used intensively as a management plan.

A: 콤팩트시티. 콤팩트시티는 말 그대로 도시의 기능을 한 곳에 조성하는 도시계획 기법이다. 고밀도 압축개발을 하겠다는 것이네요.
A: Compact City. Compact city is literally urban planning techniques that create urban functions in one place. It means it is going to develop high-density compression.

Z: 중산간지역과 비시가화 구역은 보전/이용/중간 영역으로 구분한다. 영역별 보전을 위한 관리체계를 위해서다.
해발고도 300미터 이상은 보전영역
200미터 이상 300미터 미만은 중간영역.
해안일주도로 한라산 방면 1.2킬로미터에서 해발고도 200미터 미만은 이용영역으로 설정해서 관리한다.
Z: Mid-mountainous and non-urban areas are divided into conservation/use/intermediate areas.
It is for the management system for the preservation of each area.
Conservation area above 300 meters above sea level
More than 200 meters and less than 300 meters are in the middle area.
Around the coast, 1.2 kilometers toward Hallasan Mountain and less than 200 meters above sea level are set as areas for use.

A: 제주의 2040년의 도시계획을 들어봤다.
5개 권역으로 생활권을 나누고 콤팩트시티의 관리방안으로 인구 100만명의 제주가 기대된다.
A: This is the plan of Jeju in 2040.
One million population of Jeju,
with 5 living areas of Jeju,
compact city Jeju are coming. Exc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