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JU A to Z
제주삼다수 제3 취수원
Increasing Jeju Samdasoo Water Production since 2027

Z: 제주삼다수가 생산라인을 늘리고 해외 수출 비중을 늘리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Jeju Samdasoo is preparing to increase its production line and increase the proportion of overseas exports.
A: 제주삼다수는 대한민국 먹는샘물(생수) 시장 점유율의 약 40%를 차지한다.
Jeju Samdasoo accounts for about 40% of Korea's drinking spring water market share.
Z: 제주삼다수 즉 제주개발공사는 제주삼다수의 생산량을 늘려서 제주 브랜드를 더욱 알릴 계획이다.
Jeju Samdasoo, or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plans to further promote the Jeju brand by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Jeju Samdasoo.
A: 제주개발공사가 지하에서 물을 채수할 수 있는 양은 얼마나 되죠?
How much can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collect water underground?
Z: 제주개발공사의 채수 허가량은 월 13만 8천톤이다.
1년이면 166만 6천톤이다. 이는 전체 지하수 촐양의 0.09% 수준이다.
The Jeju Development Corporation's water sampling permit is 138,000 tons per month.
It is 1,666,000 tons per year. This is 0.09% of the total amount of underground water.
A: 실제로 제주개발공사가 이용하는 지하수 양은 어떻게 되나요?
What is the actual amount of groundwater used by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Z: 그리고 현재 제주개발공사가 이용하는 지하수 양은 연간 약100만톤이다.
앞으로 제주개발공사는 2024년 9월 만들어진 ‘제3취수원’을 통해서 2027년부터 제품화를 시작할 계획이다. 그러면 기존의 제1, 제2 취수원에 더해져서 제주삼다수 생샨량을 145만톤까지 맞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And the amount of groundwater currently used by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is about 1 million tons per year. In the future, the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plans to start commercialization in 2027 through the "third water intake" created in September 2024.
Then, it is expected that Jeju Samdasang raw Shan can be matched to 1.45 million tons by adding to the existing first and second water intake sources.
A: 제주삼다수는 ESG 친환경 경영으로도 유명하다. 무라벨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Jeju Samdasoo is also famous for its ESG eco-friendly management. It produces label-less products.
Z: 친환경 제품 생산라인인 스마트팩토리도 곧 완공된다. 그러면 기존 생산량 대비, 생산 능력도 훨씬 증가해서 많은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e smart factory, a production line for eco-friendly products, will be completed soon.
Then, compared to the existing production volume, the production capacity is expec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and a lot of production will be secured.
A: 품질관리면에서만큼은 제주삼다수는 최고라고 할 수 있다. 해외의 고급 생수 브랜드보다 낫다는 생각이다.
Jeju Samdasoo is the best in terms of quality control. I think it's better than high-end bottled water brands abroad.
Z: 생산량과 브랜드 이미지의 문제이다.
조천읍에 위치한 제주삼다수 생산공장은 취수부터 포장, 출고까지 전 과정이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1초에 21병, 분당 1270병을 생산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생산과정 역시 여과와 자외선 살균, 출고까지 이물질 혼입을 차단한다. 품질관리는 최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It's a matter of production and brand image.
The Jeju Samdasoo Production Plant, located in Jocheon-eup, operates as an automated system for the entire process from intake to packaging and shipping.
It is equipped with a facility that produces 21 bottles per second and 1,270 bottles per minute.
The production process also blocks the mixing of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filtration, UV sterilization, and even shipmen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quality control is the best.
A: 제3 취수원을 통해서 생산량도 늘릴 수 있다면 이제는 해외에 알리는 일만 남았군요.
If it can increase the production through the 3rd water intake, it only has to inform overseas.
Z: 현재 해외에 수출되는 제주삼다수는 동남아시아 국가의 한인마트를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다. 교민들과 한인 관광객 위주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Currently, Jeju Samdasoo, which is exported overseas, is sold mainly at Korean Mart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It is forming a market centered on Korean residents and Korean tourists.
A: 하지만 해외는 각 국가마다의 고유 생수 브랜드들이 있어서 새로이 진입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But it will be difficult to enter a new overseas market because each country has its own bottled water brands.
Z: 그렇다. 따라서 삼다수 생수 브랜드에 익숙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시장 점유율을 넓혀나갈 수 밖에 없다.
현재 연 생산량의 1%인 1만톤을 동남아와 중국 등 21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이 중 동남아가 절반을 차지한다.
앞으로 유통망 확대와 마케팅 강화로 시장을 개척해 나갈 것이다.
Yes, so we have no choice but to expand our market share to consum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Samdasoo bottled water brand.
Currently, it exports 10,000 tons, or 1% of its annual production, to 21 countries, including Southeast Asia and China.
Of these, Southeast Asia accounts for half.
In the future, we will pioneer the market by expanding the distribution network and strengthening marketing.
A: 제3 취수원이 개장하면 (2027년) 생산도 증가하고 수출물량도 증가할 수 있겠죠?
When the 3rd water intake opens (2027), production and export volume can increase, right?
Z: 2027년에는 수출 물량을 최대 10만톤에서 15만톤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By 2027, it will be able to expand our export volumes from up to 100,000 tonnes to 150,000 tonnes.
A: 앞으로 세계로 뻗어나가는 삼다수, 기대된다.
I'm looking forward to Samdasoo, who is expanding to the worl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