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RE100 농업 1부

JEJU A to Z
농업 RE100
RE100 in Agriculture
Part 1


Z: 제주가 추진하는 탄소중립 정책 중 중요한 부분은 신재생에너지나 그린수소지만, 전기차배터리 분야도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제주도청이 서귀포 농업기술센터와 함께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를 활용해서 ‘농업분야 Eco ESS 실증사업을 추진해왔다.
Renewable energy or green hydrogen is an important part of Jeju's carbon neutrality policy, but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sector is also a very important part.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along with the Seogwipo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has been promoting the Eco ESS demonstration project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batteries after using electric vehicles.

A: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배터리와 관련된 산업 역시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electric vehicle market, the battery-related industry has also become very important.

Z: 특히나 사용후 배터리 배출량이 급격히 늘어나게 될 것이다.
2023년 9월의 수치를 보면 사용후 배터리 배출량은 281개였다.
하지만 2027년이 되면 2851개, 2030년이 되면 9009로 급격히 늘것으로 예상된다.
In particular, the amount of spent battery emissions will increase sharply.
Figures for September 2023 show that spent battery were 281.
However, it is expected to increase sharply to 2,851 by 2027 and 9009 by 2030.

A:그렇다면 이렇게 늘어나는 폐배터리를 활용하는것이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잡게 될것이다.
A: Then it will become a very important industry to utilize such an increasing number of waste batteries.

Z: 그래서 폐배터리를 농업분야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농업분야 Eco ESS 실증사업’이다.
서귀포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폐배터리는 60-80% 의 성능을 유지하기 때문에 에너지저장장치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So it is the 'Eco ESS Demonstration Project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at intends to use waste batteri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ccording to the Seogwipo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waste batteries can be fully used as energy storage devices because they maintain 60-80% performance.

A: 농업분야에서도 정확히 어느 분야에 폐배터리를 접목시킬 수 있는 것이지요?
In the agricultural sector, exactly what areas can waste batteries be applied to?

Z: 우선적으로 시설하우스 정전시 폐배터리로 비상전력을 공급해서 개폐기나 환풍기를 가동시킬 수 있다. 이런 시범사업을 도내 농가 9곳과 서귀포농업기술센터 1곳에서 실증사업을 진행한 것이다.
First of all, when a facility of green house loses power, emergency power can be supplied to waste batteries to operate switches or ventilators.      
This pilot project was carried out at nine farms in the province and one Seogwipo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 하우스에 비상전력을 공급하는데 폐배터리를 활용하는 정책이군요.
실증사업을 진행해본 결과는 어떠한가요?
It's a policy that uses waste batteries to supply emergency power to the green house.
What are the results of the demonstration project?

Z: 실증 결과 전력단절 없이도 10kw급 전력을 공급가능할 수 있었다.
전력 복구 전까지 환풍기(0.5~0.7kw)나 개폐기(0.1kw)를 작동하는데 무리가 없었다.
여기에 Eco ESS는 즉시 전원공급이 가능한 부분과 소음이 없는 것이 장점으로 작용했다.
As a result of the demonstration, it was possible to supply 10kw-class power without power disconnection.
There was no difficulty operating the ventilator(0.5 to 0.7 kw) or the switch(0.1 kw) until power recovery.
In addition, Eco ESS's advantage was that it could be supplied with power immediately and that there was no no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