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JEJU A to Z 해녀보전방안은? 3부

JEJU A to Z
해녀보존 대안은?
Conservation of Jeju Haenyeo Culture
Part 3


A: 해녀에 입문했다가 중도에 포기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들었다.
   I heard that there are many people who enter the haenyeo and give up in the middle.

Z: 앞서 언급한 해녀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노력들도 할 것이다.
수협이나 어촌계 가입 절차를 완화해서 신규 해녀들을 유입시키고,
출산 육아수당 지원도 검토 중이다.
Efforts will also be made to lower the entry to become haenyeo.
It is also considering introducing new haenyeo by easing the process of joining the Suhyup(fisheries cooperatives) and fishing villages, and supporting childbirth and childcare allowances.

A: 제주의 자랑, 해녀가 3천명도 안 남은 상황이다.
신규 해녀를 늘려야 한다.
그러려면 이분들이 해녀를 통해 생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Haenyeo is pride of Jeju, there are less than 3,000 haenyeo left.
It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new haenyeo.
They must be able to make a living through haenyeo.

Z: 여러가지 대안들이 나오고 있다.
해녀를 브랜드화 시켜서 콘텐츠화 시키는 방법들을 연구 중이다.
지금은 해녀의 위기이기도 하지만 기회라고도 본다.
기획력과 콘텐츠가 가미되면 또 다른 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many alternatives.
Many people are studying ways to brand haenyeo and make them content.
This is a crisis for haenyeo, but I also see it as an opportunity.
If planning power and content are added, another added value can be created.

A: 해녀라는 브랜드와 관련해서 여러 가지 형태의 비즈니스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해녀라는 브랜드가 더욱 더 활성화되어서, 제주해녀문화가 잘 유지되길 기대한다.
As far as I know, there are many types of businesses in relation to the brand called haenyeo.
I hope that the brand of haenyeo will become more active and that the Jeju haenyeo culture will be well main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