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JU A to Z
실시간 전력거래 시장
Real Time Electricity Transaction Market
Part 2

A: 날씨와 계절에 따라서도 전력 생산량이 들쭉날쭉이다.
Electricity produ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weather and season.
Z: 따라서 재생에너지(풍력/태양광) 사업자도 중앙급전 발전소처럼 전력생산 계획을 수립해야한다.
실시간 시장은 15분마다 전력시장가격을 산출하게 된다. 정해진 발전량을 지키면 부가정산금 등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하지만 초과 발전하면 사업자는 추가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따라서 발전을 중단해야하는 패널티가 부과될 수도 있다.
Therefore, renewable energy (wind/solar) operators should also establish a power generation plan like a central power plant.
The real-time market calculates the power market price every 15 minutes.
If you keep the set amount of power generation, you will be given incentives such as additional settlement.
However, if the power generation is excessively generated, the operator has to spend additional costs.
Therefore, penalties may be imposed that should stop developing.
A: 2024년 6월부터 시범운영이다. 바로 패널티를 부과하면 부작용이 일어날 수도 있다.
It will be a trial run from June 2024. If you impose a penalty right away, side effects may occur.
Z: 제주전력거래소는 2024년 2월부터 모의 운행을 해왔다.
2024년 6월부터는 실시간 전력시장을 시범 운영한다.
도입초기이기 때문에 추가비용을 부과하는 패널티는 없을 것이다.
The Jeju Electric Power Exchange has been operating simulations since February 2024.
Starting in June 2024, the real-time power market will be piloted.
Since it is in the early stages of introduction, there will be no penalties that impose additional costs.
A: 재생에너지 과잉공급에 따른 블랙아웃 문제해결을 위한 솔루션은 더 있다.
There are more solutions for the problem of blackouts caused by oversupply of renewable energy.
Z: 실시간 전력시장에 맞춰서 2025년부터는 제주지역에 65메가와트급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 장치는 광잉 발전한 전력을 4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초과 생산된 전력은 향후에 제주-완도 해저 제3연계선(초고압 직류송전선)을 통해서 타 지역으로 보내게 된다.
In line with the real-time power market, a large-scale 65-megawatt energy storage system will be installed in Jeju from 2025. It can store the excess power for four hours.
In addition, the overproduced electricity will be sent to other regions through the Jeju-Wando Seabed Third Link (ultra-high-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line) in the future.
A: 제주가 재생에너지와 관련한 다양한 정책들을 펼치고 있군요.
Jeju is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related to renewable energy.
Z: 실시간 전력거래시장은 제주가 분산에너지특구로 가는 초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real-time power transaction market is expected to be the cornerstone of Jeju's move to a special distributed energy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