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 제주 농업 정책

제로셋 2025. 1. 21. 14:48

JEJU A to Z
2025 제주 농업정책 계획
2025 Jeju Agriculture Policy Plan




Z: 제주도의 2025년 핵심정책은 디지털 대전환이다.
Jeju Island's key policy for 2025 is the digital transformation.

A: 제주가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대전환 이후 디지털 대전환도 선언한 바 있다.
Jeju has also declared a digital transformation after the energy transformation for carbon neutrality.

Z: 제주도청은 도정 핵심정책인 디지털 & 에너지 대전환에 발맞춰서 미래농업 성장 산업화에 힘을 기울인다.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will focus on industrializing future agricultural growth in line with the digital & energy transformation, which is the core policy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 농업분야에도 디지털분야와 에너지분야가 접목되는 것이군요.
The digital and energy sectors will be combined into the agricultural sector.

Z: 제주도는 2025년 농업과 축산, 식품분야에 총2,172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디저털 농업 구축을 위한 농업실태 전수조사를 비롯하여 제주특화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에 예산이 투입되는 것이다.
Jeju Island will spend a total of 217.2 billion KRW on agriculture, livestock, and food in 2025.
The budget will be invested in the creation of Jeju-special rental smart farms, including a full survey of agricultural conditions to build digital agriculture.

A: 제주가 미래농업을 위해서 선제적으로 인프라 구축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군요.
2025년 농업분야 예산의 쓰임새를 구체적으로 구분해 달라.
Jeju is focusing its capabilities on building infrastructure for future agriculture.
It is aiming for leading the industry.
Please specify the use of the 2025 agricultural budget.

Z: 먼저 농업경영 지원과 농가부채 경감 등 농가경제 안정화에 1,479억원이 투자된다.
투자계획을 살펴보자.
제주농산물 수급관리센터 운영과 소규모 농가경영안정 지원, 농민수당, 그리고 지역농어촌진흥기금 융자 이차보전, 여성농업인 지원사업, 사회적 농업 추진 등의 사업에 총 911억원이 투자된다.
이 사업들은 농업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농가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다.
First, 147.9 billion KRW will be invested in stabilizing the farm economy, such as supporting agricultural management and reducing farm debt.
Let's look at the investment plan.
A total of 9.1 billion KRW will be invested in projects such as the operation of the Jeju Agricultural Products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Center, support for small-scale farm management, farmers' allowances, and secondary preservation of loans from local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promotion funds, support projects for female farmers, and social agriculture.
These projects will be a cornerston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farmers and generate new farm income.

A: 농업분야도 정책적으로 미래성장 산업화를 향해 나아가고 있군요.
The agricultural sector is also moving toward industrialization of future growth in policy.

Z: 그리고 친환경 농산물 소비촉진 지원에도 예산이 투입된다.
친환경 농업 확대를 통해서 지속가능한 농업 환경 보전에도 힘쓸 예정이다.
예산은 104억원이 투입된다.
In addition, the budget will also be invested to support the promotion of consump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expansion of eco-friendly agriculture, we will also strive to preserve the sustainable agricultural environment.  The budget will cost 10.4 billion KRW.

A: 무엇보다 안정적인 농가소득, 즉 안정적인 농가경영도 중요할 것이다.
Stable farm income, that is, stable farm management, will b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Z: 물론이다. 이를 위해서 제주농업인력지원센터와 농촌인력중개센터 운영, 청년농업인 육성지원, 농작물 재해보험 등에도 285억원이 투자된다.
이를 통해서 영농 인력 수급을 확대하고 안정적인 농가경영을 지원하게 된다.
Of course. To do this 28.5 billion KRW will be invested in the Jeju Agricultural Human Resources Support Center, the operation of a rural human resources brokerage center, support for fostering young farmers, and crop disaster insurance.
Through this, the supply and demand of agricultural personnel will be expanded and stable farm management will be supported.

A: 농업분야는 기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대응하는 예산은 어떻게 되는가?
The agricultural sector is closely related to the climate. What is the budget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Z: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안정적 영농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도농업용수 통합 광역화를 추진하고, 노후관로 정비사업에도 179억원이 투입된다. 이 외에도 1)농식품산업 미래산업 견인을 위한 기획 생산-소비 체계 구축,  2) 고품질감귤 생산기반 및 기상변화 대응 재해예방시설 확충,
제주농산물 통합물류 및 소비촉진 홍보,
3) 저탄소 디지털 전환을 통해서 제주축산의 혁신을 꾀한다.
In order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create a stable farming environment, 17.9 billion KRW will be invested in the integration of agricultural water and maintenance of old pipes.
In addition,
1) the establishment of a planned production-consumption system to drive the agricultural and food industry into the future industry,
2) Expanding the production base of high-quality tangerines and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in response to weather changes,
Promoting the integrated logistics and consumption of Jeju agricultural products,
3) It seeks to innovate Jeju Livestock through low-carbon digital transformation.

A: 제주가 에너지 대전환과 디지털 대전환을 농축산식품분야에 접목해서 제주농업의 새로운 대도약을 기대해 본다.
Jeju is looking forward to a new leap forward for Jeju agriculture by combining energy transform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into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food s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