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자전거길 자전인프라 자전거정책팀

제로셋 2023. 7. 8. 13:06

< 자전거 인프라 조성을 위한 정책들 >

J : 민선8기 제주도정이 출범한지 1년이 넘어가고 있다.
여러 핵심 정책 중 15분 도시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한마디로 도민들의 각종 편의시설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이다.

ZERO: 그렇다.
여러 가지 교통수단들, 편의시설 증설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제주도청 내에 자전거 정책팀을 신설했을 정도이다.

J : 제주의 자전거 교통 분담 비율은 어떻게 되나요?

ZERO: 1% 도 안된다. 0.43% 수준이다.
하지만 자전거 활성화 정책을 통해서 2030년까지 1~3%까지 끌어올리 계획이다.

J: 올해 초 제주도청은 조직개편이 있었다. 민선8기 출범 이후 단행되었다.
자전거정책팀을 새로 신설할 정도로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하고 있다.
ZERO: 그렇다.
도시 기본계획 수립과 연계해서 자전거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해서 접근하고 있다.
J: 자전거 정책은 단순히 자전거를 많이 보급한다고 될 이슈가 아니다.
안정성이 최우선으로 담보되어야 한다.
ZERO: 지금 같은 체제에서는 자전거를 권장하기 힘들다.
안전하게 탈 수 있는 도로가 마련되어야 한다.
사실 자전거정책팀은 자전거 자체 보급보다는 인프라 조성에 더 힘을 쓰고 있다.
J: 사실 오래전부터 제주에는 환상자전거 도로가 조성되어 있다.
그만큼 자전거에 대한 정책을 오래전부터 추진해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ZERO: 총길이가 1343km에 달하는 자전거 도로가 있다.
그리고 234km는 환상자전거 도로가 조성되었다.
하지만 모든 구간이 자전거 전용이 아니다. 보행자 겸용도로이다.
J : 제주의 지형 또한 자전거 라이딩을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다.
ZERO: 제주 전체 도로의 평균 경사비율이 8%에 달한다.
이정도면 자전거 라이딩에는 불편하다.
앞서 이야기 했지만 제주지역 자전거 교통 분담비율도 0.43% 이다.
이는 국가교통데이터베이스의 2021년 자료 기준이다.
그리고 2021년 시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도내에는 약 8만 7천대의 자전거가 있다.
J: 기존의 자전거도로는 보행자 겸용 도로라는 것을 알았다.
그럼 자전거 전용도로를 확보하기 위해 어떤 정책을 추진할 계획인가.
ZERO: 기존 도로를 활용할 거다. 우선 차선을 감소시기고, 폭을 줄여 나갈거다.
J: 한마디로 도로도 다이어트를 한다는 거군요.
ZERO: 그렇게 줄인 도로를 자전거 전용도로로 확보할 계획이다.
예로 왕복 4차로의 2개 차로를 없애서 자전거 전용도로로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주시청은 일부 왕복 4차선 도로에 대해서 설계 변경을 추진 중이다.
J: 경사비욜 8%에 대한 대책은 있는가.
자전거를 타기에 체력이 더 소요된다. 그리고 출퇴근으로는 맞지 않다.
ZERO : 전기 자전거가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그래서 올해부터 전기자전거를 구입하게 되면 최대 3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달 14일부터 7월 14일까지 한달간 5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았다.
이는 전국 최대 지원 규모이다.
J: 일종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의 자전거 버전이군요.
ZERO: 덧붙여 자전거와 보행자 겸용도로를 분리할 계획이다. 자전거 도로 확보를 위해서 시설 개선 사업을 추진한다. 그리고 자전거 통행로를 상시 정비하고 안전점검도 병행할 계획이다.
J: 중앙정부 사업으로는 국토종주 자전거길이라는 사업도 있다.
제주의 환상자전거길도 이 국토종주 자전거길로 선정되었다.
중앙정부로부터의 예산지원도 예상된다.
ZERO: 지원받은 사업비는 차선을 도색하고 표지판이나 난간 설치 등에 쓰인다.
J: 자전거는 기후위기의 시대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게다가 제주도의 15분 도시 정책, 즉 도민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수단으로도 잘 활용되면 좋겠다.
자전거정책팀이 신설된 만큼 인프라 조성에 많은 정책들이 추진되길 기대한다.
ZERO: 기존 도로를 줄이고 자전거 전용도로 확보부터 해 나갈 것이다.
그리고 15분 도시 시범지구 4곳과도 연계하는 계획도 검토 중이다.
J: 제주의 자전거 교통 분담률이 3%까지 올라가길 기대해보자.